추천사이트 Special


본 특별소개는 매주 주간뉴스메일에 하나씩 소개되었던 사이트 설명을 모은 것입니다. ^^

1. RF globalnet

국제적으로 가장 유명한 RF 포털 사이트입니다.
RFDH 개장시 참고가 되었으나, 기본적으로 상업적인 수익을 목표로 하는 사이트라는 점이 다릅니다.

주로 미국을 중심으로한 제품공급관련 정보와, 업계동향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으며, communitiy에서는 pozar나 besser와 같은 RF계의 유명인의 글과 답변 등 다양한 정보가 있습니다. 자료실도 풍부하긴 하지만, 대부분의 자료는 RFDH에도 있습니다. ^^;

시간을 두고 차근차근 둘러보면 좋은 외국 정보들을 구할 수 있는 곳이며, 국제화시대에 있어서 RF인으로서 꼭 알아둘 필요가 있는 사이트입니다.

 

2. RF Cafe

외국계 RF 개인홈페이지중에서 가장 뛰어나다고 할 수 있는 부르튼버거 아저씨의 RF cafe 홈페이지입니다.

RFDH도 추천사이트로 등록되어 있으며, 서로 교류하자고 메일은 오가긴 했는데 막상 RFDH는 철저히 한글이라 별로 줄 게 없어서 좀 미안했던 기억이.. ^^;

RF와 관련된 각종 수식이나 관련 이론 모음과 같은 각종 reference가 풍부합니다. 그 외에도 각종 사이트, 용어정보가 단순 RF이상의 전자/통신공학 전반에 걸쳐 소개되어 있습니다.

심심하실 때 둘러보시면 재미있는게 많은 곳이므로 여러분들께 강추! 해드립니다.

 

3. RF testcraft

RFDH에서 추천하는 최고의 국내 RF사이트!
추천사이트에도 등록되어 이미 가보신 분들도 많으시겠지만, 여러 가지 한글화된 RF관련 설명이 가득합니다.

다소 교과서적인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많은 그림과 설명이 친절하게 한글로 되어 있기 때문에 RF엔지니어에겐 많은 도움이 되는 사이트입니다. 영문화된 자료들로 머리가 혼미하신 분들이라면 이곳의 글과 자료들을 참조하시어 기본을 잡으시는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아직도 못가보신 분들은 어서 빨리 click! 하세요~

 

4. 김희철님의 홈페이지

현재 WEA 커뮤니티를 운영중이신 김희철님의 개인홈페이지입니다. 역사도 오래되었고, 실제 이동통신 업계에 근무하면서 모은 각종 자료들이 풍부합니다.

RF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내용은 그리 많지 않지만, RF를 이해하기 위한각종 이동통신/첨단 무선통신과 관련된 기술자료들이 분류별로 문서화되어 open되어 있습니다. 아직 안들려보셨다면 이동통신 기초 자료모음의 진수를 느껴보시기 바랍니다.

 

5. Wireless Expert Assocation

김희철님께서 프리챌상에서 운영중인 이동통신 전문가 그룹입니다. RF보다는 이동통신 시스템/통신시스템/단말기SW,서비스 관련 정보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아날로그 RF관련 정보는 적지만, 디지털 및 S/W와 시스템적인 자료를 찾으신다면 가장 확실한 곳입니다. 유료화된 정회원제로 운영중이지만, 준회원이 받을 수 있는 자료도 상당수 있습니다. 이동통신 시스템이나 서비스관련하여 전반적인 자료가 필요하신 분께 강추!

 

6. KAIST IDEC center

IDEC은 IC Design Education center로서, 비메모리 반도체 이론과 실습 교육을목적으로 만들어진 공익목적의 기관입니다. 여러 대학에 지역 센터가 존재하며, 그중 KAIST의 IDEC 센터가 본센터에 해당합니다.

이곳에서는 전반적인 반도체 분야의 교육을 다루지만, RF와 관련하여 MMIC/RFIC는 물론 일반 RF와 통신시스템 관련 각종 교육정보와 교재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몇몇 유용한 교육자료는 RFDH에도 다수 올라와 있으며, 가입과 자료열람은 무료입니다. 상당히 많은 PDF/PPT 자료들이 있기 때문에 아직도 안가보신 분들께는 강추해드립니다.

 

7. Spread Spectrum Scene

이곳도 무척 유명한 곳이지요~
Spread Spectrum에 기반한 CDMA와 관련된 각종 자료는 물론, RF 전반에 걸쳐서 다양한 테마들에 대한 기술자료와 presentation이 풍부합니다.

일종의 magazine(잡지)성격을 가진 곳이지만, 정기발행물이나 기사보다는 두고두고 활용가능한 류의 기술자료들이 더 돋보이는 곳입니다. 다만 분야별 정리가 다소 모호하고.. 좀 산만한 홈페이지이긴 하지만, 내용적으로는 강추할 만한 곳임은 분명합니다~

 

8. 한국전자파학회

대한민국의 여러 학회 중에 RF인들이 주로 참여하는 곳은 전자파학회, 전자공학회, 통신학회, 원격탐사학회 등이 있습니다. 그중 가장 main은 역시 전자파학회입니다.

매년 정기학회와 봄 가을 마이크로파 및 전파전파 학회, 그리고 비정기적인 각종 RF 관련 교육과 세미나가 주최되는 핵심기관입니다.

이러한 각종행사정보, 논문정보, 자료정보가 제공되는 이곳을 우리 RF인이 모른다면 안되겠죠? ^^

 

9. Microwave Journal

대표적인 국제 RF 잡지인 마이크로웨이브 저널입니다. 오래전부터 좋은 기술기사를 실어왔으며, 최근 수년간의 자료는 PDF파일화되어 등록되어 있습니다. 물론 이곳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기술자료는 RFDH 저널기사 자료실에 전부 등록되어 있습니다. (심지어 현재 마이크로웨이브 저널 사이트에도 없는 파일도 많이 등록되어 있습니다. ^^;)

무료등록을 통해 책자화된 저널지도 받아볼 수 있으므로 RF인이라면 알아두면 피가되고 살이 되는 사이트입니다.

 

10. Applied Microwave & Wireless

또다른  대표적인 국제 RF 잡지인 어플라이드마이크로웨이브앤와이어리스 (와 길다)입니다. 역시 지난주에 소개된 마이크로웨이브 저널처럼 무료등록과 함께 책자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물론, 이곳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자료는 RFDH에도 있습니다. ^^ 깔끔하고 괜찮은 잡지므로 잘 기억해두시길~

 

11. Microwave & RF

세 번째 소개해드리는 국제 RF 잡지는 마이크로 웨이브&RF입니다. 역시 무료등록으로 책자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완전히 pure하게 RF에 관련된 내용들로 구성되어 RF장이들이 보기에 푸근한 저널입니다. (^^;) 이 저널역시 모든 기사가 RFDH 저널기사자료실에 등록되고 있습니다.

 

12. RF design

국제 RF 잡지 RFdesign입니다. 역시 무료등록으로 책자를 받아보실 수 있습니다.

이 잡지도 오래전부터 꽤나 쓸모있는 기술자료가 많았는데.. 무슨 이유에서인지 얼마전 사이트를 뒤집고 예전 자료를 날려 버렸습니다. 아까워라~ 예전에 받아둔 자료가 있었는데 운영자도 실수로 하드를 날려먹어서(-.-;) 결국 예전 자료는 사라졌습니다. 흑.. 물론 대신에 최근 이곳에서 구할 수 있는 모든 기술자료는 RFDH 저널자료실에 등록되어 있습니다. ^^

 

13. Wireless Design online

RF관련 국제 웹중에서 은근히 잘 알려지지 않은 곳중 하나가 이곳입니다. 무선 설계와 관련된 각종 설계자료나 제품정보, 도서 정보등이 다양히 존재하지만, 약간 너저분한 느낌이 드는 감도 없지 않아 있는 곳이기도 합니다. ^^;

자료실이 비교적 괜찮긴 한데, RFDH에도 있는 것들이 많습니다. 주로 News & community의 news관련 소식과 library라고 되어 있는 자료실이 괜찮은 편입니다.

RF globalnet 비스무리하게 만들려고 했던 것 같은데, 좀 어설픈 느낌이 드는 것도 사실이지만.. RF인들에겐 심심할 때 훑어보면서 쓸만한게 있나.. 찾아볼만 한 곳입니다.

 

14. RF4U

RFDH 보다 역사가 오랜 국내 RF 관련 홈페이지입니다. 윤종철님께서 운영하고 계신 이곳은 과거 여러 RF 관련 정보 사이트에서 얼마전 RF 사이트 전문 검색 엔진으로 멋지게 탈바꿈하고 RFDH 서버로 입주하였습니다.

RFDH 첫화면에도 게시된 family site로서, 많은 RF인들께서 계속 유용한 사이트들을 등록을 해주신다면 좋은 정보공유가 되겠죠? 전문검색엔진은 많은 분들이 참여할수록 서로서로 도움이 많이 될 것입니다~

 

15. EE4U

국내 전자 엔지니어링 포털 사이트로서, RFDH의 배너후원사중 하나입니다. 전자분야 전체를 포괄하고 있지만 RF분야에 대해서도 많은 비중을 두고 있습니다.

이곳에서는 각종 전자관련 전반의 정보와 함께, IEEE의 논문초록을 검색할 수 있게 하는 강력한 기능을 제공해주고 있습니다. 또한 전자용어사전 및 각종 전자관련 온라인강좌도 준비되어 있어서, 전자분야에 기초를 둔 RF엔지니어 여러분들께도 많은 도움이 될 것입니다.

 

16. 전자파 저널

EMI/EMC 등 전자파장해와 관련된 분야에 관심이 있으신 분이라면 꼭 기억해두면 좋을 사이트입니다. 기본적으로 잡지성격의 홈페이지면서, EMC와 관련된 각종 관련 정보와 사이트링크를 겸비한 검색엔진 성격의 사이트입니다.

전자파 장해와 관련된 각종 기사와 규격검색, 관련 제품 등 다양한 정보가 준비된 곳입니다. EMC를 접해야 하는 분이라면 반드시 알아두어야 할 사이트!

 

17. 한국전파진흥협회

많이들 아시겠지만 새삼 소개해드립니다. (^^;)

RF와 관련된 각종 정보와 연구사업, 자료등이 있으며.. 전파법, 관련 통계자료, 도서,정책 정보등등.. 실무적으로 필요한 정보가 대량 축적되어 있습니다.

특히 통신과 관련된 각종 실무 통계자료를 찾기에 가장 좋은 사이트입니다. 정보통신,위성,방송,무선통신기기,무선국,주파수 등 오만가지 관련 통계가 공개된 곳입니다. 또한 관련 용어 및 해외계약 관련 정보 등등.. 평소엔 지나쳤던 필요한 것들을 이곳에서 찾으실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18. 한국 무선관리단

대한민국의 비영리 전파관련기관중 하나인 무선관리단입니다.각종 전파진흥을 위한 사업 및 자격검사 등 다양한 무선관련 업무를 처리하고 있습니다.

전파 관계 법령 및 기술정보 등이 있으며, 특히 국내 얼마 안되는 전파전문 잡지인 '전파'를 발행하고 있습니다. 웹에서도 최근 잡지 기사를 접속할 수 있으며, 한글이기 때문에 좀더 쉽게 읽을 수 있습니다. 또한 관련 연구보고서 등 다양한 전파관련 자료를 접할 수 있는 좋은 곳입니다.

  

19. RF 시험지원센터

전파연구소와 ETRI가 공동으로 운영하는 이곳은, 벤처/중소기업들의 측정장비 및 관련 기술, 교육 지원을 위해 설립된 곳입니다. 업무적으로 이곳의 각종 관련 지원기능을 이용할 수 도 있으며, 신기술동향, 법령 및 국제적 기술기준의 동향등에 대한 정보가 존재합니다.

또한 전파연구소 등과 연계되어 수시로 각종 교육이나 행사가 공지되고 있으며, 자료실등을 통해 각종 관련자료들을 다운받을 수 있습니다.

측정과 시험에 애로사항이 많은 중소벤처기업 개발자분들이라면 참고삼아 알아두면 좋은 곳입니다.

 

20. Palo wireless

주로 3G 이동통신과 관련된 각종 통신방식과 기술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곳입니다.

각종 규격정보는 물론 시장정보, 도서정보 및 최근 뉴스등이 분야별로 자~알 정리되어 있습니다.

CDMA/GSM/UMTS 등은 물론 무선랜,homeRF,블루투스,GPS 등 다양한 무선통신 관련 정보들이 있어서 RF 엔지니어라면 알아둘 만한 좋은 곳입니다. ^^

 

21. RF engineer

생긴건 썰렁해보이는데 뒤져보면 꽤나 흥미로운 사이트입니다. 많은 유용한 팁, 프로그램, 그림 및 링크등.. 이 뒤죽박죽입니다(칭찬인가? -.-;)

그중에서도 RFIC 에 대해 각종 회로도와 레이아웃 그림, 예제, 링크 등이 많은 편입니다. 또한 통신시스템에 관련해서는 각종 표준과 기준에 대한 설명이 쩜 괜찮습니다. CDMA, GSM 등등..

시간나실 때 관심있는 부분들 찔러대다 보면 뭔가 건질 수 있을지도 모릅니다! ^^

 

22. Test Mart

이곳은 각종 계측기 판매를 위한 사이트로서 상업사이트긴 하지만.. RF는 물론 전자공학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각종 계측기에 대한 정보를구할 수 있는 곳입니다.

관련 application note 들은 물론, 어떤 계측기가 어떤 spec으로 어떤 메이커에서 나오는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계측기가 필요하시다면.. 한번정도 둘러보면서 어떤 것들이 있는지 뒤져보면 나름대로 쓸모있는 곳이죠. ^^

 

23. The Designer's Guide

오우~ 쌈빡한 사이트~
최근 생긴거 치고는 잘 만들어진 곳입니다. Dr. Kenneth S. Kundert의 개인 홈페이지로서, 시뮬레이션 테크닉에 대해 좋은 자료들이 많은 곳입니다.

능동 회로 해석에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분명 흥미있을 만한 사이틉져! ㅎㅎ

 

24. 김덕원 교수님의 홈페이지

연세대학교 의용공학과 김덕원 교수님의 홈페이지로서, 전자파가 인체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다양하고 깊이는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최근들어 이런 전자파유해성에 대한 논란이 많고, 특히 단말기 엔지니어를 괴롭히는 SAR문제 등등을 생각해보면 꽤 의미있는 정보들이 많습니다.

이러한 전자파의 인체영향에 대한 각종 신문/잡지기사, 논문, 책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필요하신 분께는 짱입니다!

 

25. ADS user group

현재 가장 많은 사용자를 확보한 대표적인 RF tool인 ADS의 종합정보사이트입니다. ADS 제작사인 agilent사에서 운영하는, 상업적 성격이 가미된 곳이지만, ADS 유저분들에게는 대단히 유용한 내용들이 많습니다.

ADS와 관련된 각종 세미나, 자료 및 새로운 기능에 대한안내, 정기 교육 안내 및 분야별 Q&A등이 준비되어 있습니다. RFDH 내에서도 ADS 관련된 많은 질문과 답, 논의들이 있지만 ADS 사용자분이라면 이곳도 꼭 참조하시면 도움될 것이 많을 것입니다.

 

26. Chip Center

알 만한 분들은 다 아실 만한 사이트.. 칩센터입니다. 이곳은 전자부품관련 토탈 정보사이트로서.. 각종 능,수동 소자 및 반도체 부품등 전자부품 전반에 걸쳐서 다루고 있습니다.

특히 Knowlege center 메뉴에서는 오만잡다한 각종 부품관련기술문서와 규격등을 보실 수 있습니다. IC를 비롯한 각종 전자부품에 대한 정보를 찾아야 할 때 많은 분들이 제일먼저 찾아보는 사이트중의 하나이죠. 심심할 때 이곳저곳 뒤져보신다면, 급할 때 언젠가 필요할지도 모릅니다. ㅎㅎ

  

27. CDG (CDMA Development Group)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CDMA와 관련된 모든 제품의 개발자들을 위한 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입니다. 이런 user group site가 그렇듯이, CDMA 관련 뉴스가 풍부합니다.

굳이 뉴스 말고도 CDMA 관련 각종 기술설명과 차세대 3G 기술, WLL과 같은 기술에 대한 소개등이 있습니다. 또한 전세계적인 CDMA 서비스현황이라던지 로밍 현황등의 흥미로운 정보도 존재합니다.

CDMA 관련 엔지니어분이라면 꼬옥 알아두어야 할 사이트.

 

28. 전파교육연구센터

대전 ICU(한국정보통신대학원대학교) 내에 위치한 전파교육연구센터입니다. 전파관련 전문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여 각종 교육과정/세미나를 개최하고 있습니다.

또한 RF관련 각종 교육자료파일은 물론, 동영상파일로도 교육내용을 제공하여 다각적이고도 참신한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29. 정보단말교육센터

산업자원부의 지원에 의해 주성대학교 내에 설치된 교육센터로서, 부품·소재/ RF회로설계기술 등 정보단말과 관련된 교육과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RF 와 관련된 여러 교육정보와 자료를 접할 수 있으며, 각종 측정 및 장비 지원을 받을 수 있습니다.

 

30. 광운대 RFIC 센터

광운대학교 내에 위치한 RFIC 전문 센터로서, RFIC 기술 및 관련 핵심기술에 관한 교육 및 연구를 목적으로 설립된 곳입니다.

RFIC 관련 각종 설계지원과 교육사업, 관련 설계 툴 교육등이 수시로 열리고 있으며, 회원제 자료실도 운영하고 있습니다. RFIC/MMIC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알아두셔야 할 만한 좋은 곳입니다. ^^

 

31. 중앙전파관리소

전파관련 민원행정과 전파환경감시를 통한 효율적인 전파자원 관리를 수행하는 정부기관입니다.

이와 관련한 전파법령과 고시 등을 참조해볼 수 있으며, 자료실을 통해 각종 서비스 주파수 할당현황과 각종 응용기술, 외국현황 및 기초적인 학습자료를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전파관련용어에 대해 사전적으로 정리가 잘 되어 있어서 많은 참고가 가능합니다. 무선장비를 다루는 분들이라면 기본적으로 알아두어야 할 곳중 하나!

 

32. 한국 통신사업자 연합회

제목 그대로, 국내 통신사업자들의 연합회 홈페이지입니다. (KTOA : Korea Telecommunications Operators Association)

이곳에서는 국내 통신망들의 사업자목록 및 관련 법령, 통계자료를 접하실 수 있으며, 특히 초고속 무선LAN과 정보통신망에 대한 포럼이 있어서 이와 관련된 다양한 정보와 자료를 얻을 수 있습니다.

다른 것은 몰라도 무선LAN에 관심 있으신 분이라면 꼭 알아두어야 할 만한 곳입니다. ^^

 

33. SDR forum

SDR(Software Defined Radio) 에 대한 국제 포럼사이트입니다. 많은 RF 하드웨어부분을 규격화하고, 소프트웨어적으로 그 특성들을 직접 조절할 수 있는 미래형 통신시스템인 SDR 에 대해 다양한 정보들을 접할 수 있습니다.

특히 Document List 메뉴를 통해 SDR의 규격화 과정이 문서화된 채 공개되어 있습니다. SDR을 연구하시거나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반드시 참조해야할 귀중한 자료실입니다.

 

34. Bluetooth.com

블루투스 공식 홈페이지인 bluetooth.com입니다. 당연한 얘기지만, 블루투스를 다루시거나 관심있으신 분이라면 당연히 꼭 알아야 할 곳이겠죠. ^^; ISM 밴드를 이용하여 각종 전자기기끼리 근거리 통신을 위해 만들어진 블루투스에 대한 각종 정보를 취할 수 있습니다.

각종 관련 뉴스/기술 정보 및 블루투스 규격과 표준에 대한 자료를 가장 확실하게 구할 수 있는 곳입니다. 기타 관련된 각종 백서(white paper)와 여러 응용에 대한 자료등, 블루투스에 대한 정보가 가득! 합니다.

  

35. RF & Microwave
Computer Aided Egineering

RF와 초고주파 기술과 관련된 CAE 기술을 다루는 저널입니다. 쉽게 말해서 컴퓨터를 시뮬레이션 설계/분석과 관련된 각종 기술에 대해 전문적으로 다루고 있습니다.

SPICE나 harmonic balance류와 같은 회로 시뮬레이션이나 FEM, FDTD, MoM 등의 구조분석 알고리즘 등등, 이제 RF 설계와 분석에 필수품이 되어가는 각종 tool 기술에 대해 전문성을 갖고 있습니다.

단, 이 사이트의 기술문헌 정보는 유료이므로 업무상 필요하신 분들께 추천해드리고 싶습니다. ^^;

 

36. UMTS world

UMTS (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은 IMT-2000 이라는 명칭으로 대표되는 3G 통신의 유럽식 명칭입니다. 유럽식인지라 기본적으로 WCDMA에 기반하고 있지만, CDMA2000의 내용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또한 EDGE를 비롯한 WAP, GPRS, Bluetooth, HomeRF 등등 다양한 RF기술에 대한 설명과 정보도 있습니다. 차세대 통신기술에 대해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재미있는 사이트입니다. ^^

 

37. IEEE 802 site

IEEE의 국제 규격을 다루는 사이트 중 하나로써, 802계열 LAN 관련 각종 정보와 규격을 제공하는 곳입니다.

아무래도 우리 RF인들 입장에서는 802.11 , 즉 무선랜 (Wireless LAN)에 가장 관심이 많겠지요. 2.4GHz, 5.8GHz 규격인 802.11a/b 에 대한 각종 정보와 규격, 흐름을 파악할 수 있는 곳으로서 무선랜을 다루시는 분이라면 꼭 알아두셔야 하겠지요? ^^

 

38. Mil Spec site

Military specification, 소위 밀스펙(Mil spec)이라 불리우는 이것은 말그대로 군사규격을 의미합니다. 군사용이라서 일반 상업시장에 비해 매우 높은 제품신뢰도와 성능을 요구할 수밖에 없지요.

RF를 비롯한 각종 전자제품을 개발하다보면, 많은 상업제품 규격에 Mil spec이 관여되게 됩니다. Mil spec을 만족할 정도면 훌륭하다, 뭐 이런 식이거나 Mil spec에 준한다는 식의 언급을 만나게 됩니다.

RF의 안테나나 각종 주요 소자, 시스템에 대해서도 이러한 Mil spec이 적용되는 곳이 많은데, 이러한 규격에 대한 전반적인 정보를 취득할 수 있는 좋은 사이트입니다. ^^

 

39. Inside GSM

lㅋㅋ 이런 사이트가 다 있다뉘..

사이트 제목그대로, 유럽의 이동통신 표준인 GSM 단말기 내부사진을 실컷 감상할 수 있는 홈페이지입니다.

여러 각 회사의 단말기 내부 사진과 함께 각 부위가 어떤 기능파트인지까지 친절히 설명되어 있습니다.GSM 단말기 엔지니어라면 적잖게 참고할만한 그림들이지요. 기타 GSM 폰에 관심 많으신 분들이라면 참 재미있는 곳입니다. ^^

 

40. Howardchui

지난주, GSM 폰 사이트에 이어..

외국향 핸드폰에 대해 다양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howardchui.com을 소개해드립니다. GSM과 CDMA 등의 각종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분석을 목적으로 하는 사이트로서, 삼성,노키아,모토롤라 등 해외 각종 유명 메이커들의 주요 제품들에 대한 소개와 기능, 특징에 대해 무척 자세히 나와있습니다.

국외 핸드폰 동향에 관심이 있으신 분께는 매우 흥미있을 만한 곳입니다. ^^

 

41. KAIST EMDEC

KAIST(한국과학기술원) 산하의 전자부품·재료설계 인력교육센터 로서, 전자분야의 여러 관련 교육을 수행하는 기관입니다.

주로 실무자와 대학원생들을 상대로 교육과정을 개설하고 있으며, 단순 교육 뿐 아닌 여러 기입기술지원사업도 수행하고 있습니다.

KAIST 자체는 대전에 있지만, EMDEC 교육센터는 서울에 있습니다. 여러 전자 분야 교육중에서도 RF/통신 관련 교육이 자주 열리므로 많은 참고를 바랍니다.

 

42. GSM world

TDMA 기반의 유럽형 이동통신 시스템인 GSM에 관한 연합 홈페이지입니다.

GSM은 물론 그와 관련된 GPRS, EDGE 에 대한 소개와 그를 지원하는 각종 단말기 정보가 제공됩니다. 또한 GSM과 관련한 각종 서비스 현황과 기술에 대한 정보가 있는 곳으로써, GSM에 관심많은 엔지니어분이라면 꼭 알아두면 좋을한만한 곳입니다.

 

43. GPS world

GPS에 대해 다루는 전문잡지입니다. 역시 다른 잡지들처럼 신청하면 책자로도 받아볼 수 있고, 인터넷에서도 글을 읽을 수 있습니다.

GPS와 관련된 각종 하드웨어/소프트웨어 정보 및 최근 개발동향, 관련 제품을 총망라한 곳입니다. GPS에 직접적으로 관련된 업무를 하시는 분이나, 관심이 많은 분이라면 꼭 참고해볼 만한 곳입니다.

 

44. Microwave Engineering

초고주파를 다루는 온라인 저널로서, Microwave와 관련된 각종 업체정보와 뉴스, 국제 행사정보들이 존재합니다.

다른 저널들과 마찬가지로 등록후 책자로도 받아볼 수도 있고, 일부는 온라인상에서 읽을 수 있습니다.

 

 

45. Communication System Design

통신기술 전반에 대해 다루는 대표적인 저널입니다. 네트워킹/ADSL/유선통신 분야와 함께 무선통신 분야의 좋은 기술기사들이 많습니다.

또한 EE times 등 여러 기술저널들과 자료가 공유되어 있어서, 여러 저널에서 나온 RF관련 기술기사나 소식들도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이번달부터 CSD의 기사들도 저널자료실에 PDF화 되어 등록되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46. ADS Knowlage Center

가장 범용으로 이용되는 RF tool인 ADS와 관련된 각종 자료를 제공해주는 곳입니다.

ADS의 전신이라 할 수 있는 MDS와 Series IV (Libra)의 자료도 구할 수 있으며, ADS와 연관된 각종 tool에 대해 수천종 이상의 다양한 자료가 존재합니다.

무료회원등록으로 마음껏 사용이 가능하므로 Agilent tool 관련 사용자분들은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47. Maglab

RF의 기본이 되는 전자기학중, 특히 자기학(Magnetics)에 대해 전문으로 다루는 비영리 홈페이지입니다.

자성체, 자기학, 자기센서, OP amp 등 여러 가지 재미있는 기술적 내용들이 있으며, 자기학을 응용한 여러 application들에 대한 재미있는 설명을 읽을 수 있습니다.

 

48. Circuit Sage

RF 관련 각종 회로에 대해 다양한 정보와 링크를 구할 수 있는 아주 재미있는 곳입니다. LNA, PA, matching, PLL, filter, Transceiver 및 A/D 변환과 바이어스용 bandgap 등, 다양한 응용분야에 대한 유용한 자료링크가 잘 정리되어 있습니다.

정리된 자료가 약간은 어수선한 면이 있지만(^^;) 유용한 자료가 많기 때문에 꼭 한번 들려보시길 권해드립니다~

 

49. I - laboratory

소개가 늦었습니다. ^^;
아시다시피 얼마전부터 RFDH와 직접 제휴 비스꾸리한 관계를 맺고 있는 곳으로서, 일본에서 가장 잘 알려진 RF 관련 홈페이지입니다. RF관련 개인사업을 하시는 市川裕一 의 개인 홈페이지로서, 다양한 RF 관련 기초강의와 실험사례, 각종 웹 계산툴이 제공됩니다.

얼마전 '나그네' 님의 소개로 알게된 이 홈페이지의 활용가치가 높아보여서, RFDH운영자가 직접 개인적으로 연락하여 I-lab 운영자님과 친분을 쌓게 되었습니다. 그래서 서로 컨텐츠 교환에 대한 협의를 마친 후, RFDH에 I-lab의 각종 강의자료 한글화와 웹계산 코드 사용에 대한 공식적인 허가를 받았습니다.

일본어로 되어 있어서 일부 분들만 알아보실 수 있고, 또한 주요내용들은 RFDH의 초청강의실에서 한글화되고 있는 중이지만, RFcafe에 이은 RFDH의 두번째 자매사이트(?)로써 소개드립니다. ^^

 

50. isat.info

위성방송 포털 사이트로서, 국내사이트이지만 전 세계의 위성방송과 위성 현황 등 다양한 정보를 제공하는 곳입니다.

전세계의 위성의 종류, 위치, 지역 및 제공되는 많은 채널들에 대한 정보 및 검색 기능이 있습니다. 기타 관련 장비업체와 시설업체에 대한 정보와 관련 자료실을 제공합니다.

위성방송과 인공위성에 관심이 많으신 분에게는 좋은 정보가 될 만한 곳입니다.

  

51. 김활님의 홈페이지

RFDH에서 많은 분들께 도움을 주셨던 김활님의 "정보통신 개념파악" 홈페이지입니다.

외관보다는 실질적인 내용을 담은 자료글에 중점을 둔 곳으로써, 통신과 컴퓨팅 등 여러 정보통신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아직 업데이트가 준비중인 자료도 많지만, 재미있고 유익한 글도 많으므로 한번 방문해보세요. ^^

 

52. 한국 전자통신 연구원 (ETRI)

대전에 위치한 국내 최대의 무선/유선 전자관련 연구소입니다. 통신과 관련된 모든 기술과 소재 등 전반에 걸친 분야를 다루며, 많은 연구그룹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통신 관련 각종 국가과제 수행 및 업체 과제 수행, 기술이전, 선도기술 연구 등이 수행되고 있습니다. 너무 유명한 곳이라 별로 설명이 필요할런지.. ^^;

각종 기술정보와 동향정보, 과제정보, 기술거래 등 다양한 통신관련 정보를 구할 수 있는 곳이므로 RF를 하시는 분들역시 꼭 알아두어야 할 곳임에 분명한듯!

 

53. 전자부품연구원 (KETI)

전자관련 신기술과 부품기술에 대해 연구하는 연구기관입니다. ETRI와 마찬가지로 신규 기술에 대한 선행 개발 및 기업기술이전, 국가 개발 과제등이 수행되고 있습니다.

RF와 관련이 깊은 연구그룹으로는 고주파재료/무선통신 연구부서가 있으며, 기타 무선PAN/유비쿼터스/DMB/MEMS  연구부서 등이 연관됩니다.

각 연구부서 홈페이지로 들어가시면 부서 소개 및 다양한 연구정보와 자료등을 얻을 수 있습니다.

 

54. 전파연구소

전파연구소는 엄밀히 말해 순수연구기관이 아니라 정부기관에 가깝습니다. 국내외 전자기기의 형식검정과 EMI/EMC 인증 등 전파환경에 대한 제품인증을 주요 업무로 하고 있습니다.

그에 따라 이러한 형식승인을 위해 SAR과 같은 각종 전자파 기술 연구도 병행되고 있으며, 관련 측정기술 및 전파환경/표준화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습니다. 또한 이와 관련된 각종 국가 과제가 진행되며, 관련 자료등도 구할 수 있습니다.

 

55. 한국과학기술연구원 (KIST)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과학기술 연구소 중 하나인 KIST입니다. 서울내에서도 공기좋은 홍릉에 위치하며, 각종 국책과제와 선행기술개발과제, 산학 협력 기술개발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전반적으로 RF분야의 연구 비중은 적고 대부분 과학기술 전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지만, 일부 파트에서는 RF와 관련된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산하의 마이크로 시스템 연구센터에서는 RF MEMS를 비롯한 MEMS 기술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 중이며, 마이크로파 유전체와 압전체등을 연구하는 재료연구부 등이 있습니다.

각종 연구과제 정보와 실적 정보 등이 있으며, 특히 전자도서관 링크 부분이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56. 한국전기연구원

대전력 전력전기기술을 주로 연구하는 연구원으로써, 전기분야 자체가 방대하기 때문에 RF분야도 일부 겹치지요. 본원은 경남 창원에 위치하며, 경기도 의왕에 분원이 위치하고 있습니다.

전력선 전송에 의한 전자기기/인체 영향 등의 EMC 관련 문제 및 전파를 이용한 전력전송, GPR과 같은 RF 관련분야가 연구되고 있으며, 그에 따른 각종 RF 회로 설계분야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57. 한국천문연구원

천문학 분야는 전파망원경이 일반화되어 있고, 그에 따른 전파망원경용의 수십GHz 이상의 고주파회로 개발도 필요하게 됩니다. 뿐만아니라 GPS와 같은 분야도 결부되며, 우주 천문학에서도 전파의 분석이 매우 중요한 과제가 되지요.

대전에 위치한 한국 천문연구원 역시 RF와 관련된 각종 고주파 회로, 분석 등의 연구분야 및 전파처리, GPS 등 다양한 RF 관련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특히 대덕전파천문대에서는 밀리미터파이상의 초고주파 전파 시스템에 대해 활발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또한 천문연구원의 GPS 연구그룹은 매우 수준높은 정보와 자료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58. 한국항공우주연구원

대전에 위치한 항공우주 연구원에서는 항공기술과 인공위성, 로켓 분야 등에 대한 연구가 수행되고 있습니다.

항공과 인공위성 분야는 모든 신호전송과 제어가 무선으로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전파분야와 오랫동안 깊은 관련을 가진 분야입니다. 그로 인해 RF 송수신기는 기본 탑재품이 되고, RF 관련 기술이 항상 수반되게 됩니다.

항공우주 분야에서 RF가 접목되는 곳이 워낙 많으므로, 이와 관련된 RF 기술 및 연구접목 분야에 대한 여러 가지 정보를 얻을 수 있습니다.

 

59. 한국표준과학연구원

대전에 위치한 표준과학 연구원은 측정의 표준과 기준체계를 연구하는 곳으로써, 당연히 RF 측정 표준 분야도 포함하고 있습니다.

그중 전자기 표준부에서는 전자파 측정에 대한 각종 표준과 측정법에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며, 특히 EMI/EMC 관련 연구 (전자파흡수체, 측정표준/환경, 전자파 감쇄량 등) 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습니다.

대외적으로 안테나 특성 평가 및 전자파 측정, EMS 시험, 각종 국제 표준규격 시험 및 전자파 차폐, 교육에 대한 서비스도 제공하고 있습니다.

 

60. 기초과학지원연구원

국가적으로 투자가 필요한 각종 기초과학 분야에 대한 연구와 시설지원을 담당하는 연구기관으로써, 특히 핵융합 분야의 연구가 활발한 곳입니다.

대전에 위치한 이 연구원은 이름에서 알 수 있듯이, 민간 기업이나 학교를 대상으로 시설과 장비, 기술에 대한 지원 업무가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핵융합이나 플라즈마 기술과 관련하여 RF 기술의 접목이 이루어지며, 특히 kW단위의 대전력 RF 신호를 이용한 장비와 기술에 대해 깊이있는 연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

 

61. 국방과학연구소 (ADD)

ADD(Agency for Defence Development)라 불리우는 국방과학연구소는 대전에 위치하며, 각종 국방 무기기술 관련 연구개발을 총괄하는 국가기관입니다.

미사일이나 레이더, 통신 장비, 암호 등 전분야에 걸쳐 RF와 관련이 깊으며, 그에 따라 각종 RF 관련 회로/시스템 과제를 주관하고 있습니다.

기밀기관이기 때문에 대외적으로 공개된 정보는 적지만, 밀리미터파나 대전력 RF 시스템 등에서 업무적으로 연관이 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62. Amanogawa.com

예전부터 꽤 알려진 사이트중 하나였기 때문에, 알고계신 분들도 계실 겁니다. ^^

전송선로, 전자기파, 안테나의 크게 3가지 주제에 대해 각종이론자료와 JAVA 계산기 등이 제공되는 곳으로써, 자료의 질이 좋은 편입니다.

물론 상당수 자료는 이미 RFDH 자료실에도 등록되긴 했는데, 소개된 관련 이론에 대해 일일이 정교한 JAVA 언어로 프로그래밍된 실험을 바로 할 수 있도록 만들어 놓아서 상당히 흥미롭습니다. 백문이 불여일견, 한번 구경해보세요!

 

63. Mil spec 검색사이트

군사규격으로 통하는 Mil spec (Millitery Specification)을 검색하고 바로 다운받아볼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많은 고급 규격들이 Mil spec을 기준으로 하는 경우가 많아서 참고해야 할 경우가 많은데, 지금까지 보아온 Mil spec 검색사이트중 가장 정리가 잘 된 곳인 듯 합니다.

spec 정보가 필요하신 분에겐 강추~

 

64. Circuit Active

워싱턴 대학 전자공학과에서 운영하는 회로 관련 데이터베이스 사이트입니다.

RF는 물론 일반 아날로그 회로의 샘플 회로도나, 관련된 부품 검색, 데이터 쉬트, 프로그램, 문서 등 꽤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워싱턴 대학 내에서 이루어진 연구정보나 과제 정보에 기반한 내용이라 범위가 아주 넓지는 않지만, 그럭저럭 재미삼아 둘러볼 만합니다.^^

 

65. RF 기술교육 센터

ETRI(전자통신연구원)과 전파진흥협회에서 주관하는 RF 관련 교육 전문기관입니다.

RF 관련 각종 기본, 설계, 측정 교육이 서울과 대전 교육장에서 수시로 개최되고 있습니다. RF전문 교육기관인 만큼 실무에 도움이되는 실질적인 교육이 많이 있습니다.

본 기관에서열리는 교육/세미나 행사는 모두 시기별로 RFDH 첫화면에 게시해드리고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66. IEEE Xplore (논문검색)

세계최대의 학술그룹인 IEEE의 논문/자료 검색 전문 사이트입니다. RFDH에 오시는 분들이라면 이미 잘 알고 계시거나 매일 들락거리시는 분들도 꽤 많으시겠지요.

이곳에는 RF나 통신 분야 뿐만이 아닌 IEEE의 방대한 학술분야 전체의 자료가 들어있으며, 정기논문지 및 학회 발표자료등까지 망라하고 있습니다. 아마도 전세계에 이곳만큼 방대한 기술자료를 보유한 곳은 없을 것입니다.

논문초록 검색까지는 무료지만, 논문 전문을 PDF로 다운받는 것은 유료로 가입된 IEEE 회원만이 가능합니다.

 

67. World-wide High Frequency Link

제목처럼, 전세계의 고주파 관련 사이트들을 정리한 곳입니다. 기본적으로는 독일 홈페이지라 독일어가 난무하지만, 중요한 단어는 다 영어로 정리해주기 때문에 큰 문제는 없습니다. ^^;

이곳의 정보량이 그리 많은 것은 아니지만, 세계각국의 다양한 고주파 기술관련 연구그룹등에 대해 정리되어 있다는 점이 특이합니다.

특히 구하기 어려운 유럽쪽 관련 주요 고주파 관련 링크들을 만나볼 수 있는 기회이므로, 심심할 때 함 찔러보세여-

 

68. LTCC 사이트

PCB내에 수동소자를 집적화하는 최신기술인 LTCC 기술에 대해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독일의 시뮬레이션 프로그램 제작사인 IMST에서 운영하는 곳으로써, 기본적으로는 IMST의 Empire라는 3D tool을 이용한 응용사례 등을 소개하기 위한 사이트입니다.

비록 기본의도는 제품소개를 위한 것이지만, LTCC 기술에 대해 공정과정이나 관련회사, 여러 가지 적용사례, 관련 논문, 문헌, 최근 소식 등 꽤 양질의 정보가 제공되고 있습니다. LTCC에 관심이 많으신 분이라면 분명히 좋은 정보가 될 만한 사이트입니다. ^^

 

69. ITU

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말 그대로 거창하게 전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국제 통신 연합회입니다.

하는 역할이 너무 많아서 설명하기 그럴정도지만.. 각종 국제 통신 규격과 그와 관련된 연구, 분쟁조정, 개발과 시장 흐름의 연구 등을 수행하고 있습니다.

기본적으로 유무선을 다 다루고 있지만, 최근 무선시장이 무진장 급성장 하면서 최신 무선 기술 관련 분야가 점점 더 커지고 있습니다. 기술자 분들은 물론, 기술기획하시는 분들이라면 이미 잘 알고 계셨을 만한 곳이지만 새삼스럽게 소개해드립니다. ^^;

 

70. AMTA Online

AMTA(Antenna Measurement Techniques Association)는 이름 그대로 안테나 측정 기술과 관련된 각종 기술을 다루는 곳입니다.

안테나 측정이란게 측정 방법에 대한 표준화가 매우 중요한 사안이고, 다른 어떤 RF 아이템보다 측정이 애매한면서도 돈이 많이 드는 경우가 많습니다.

AMTA에서는 이와 관련하여 각종 기술교류 및 매년 심포지움 개최, 전시회 등을 주관하고 있습니다. 내용이 아주 충실한 곳은 아니지만, 안테나 측정과 직접적 관련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당연히 알아두시면 좋을 만한 곳입니다. ^^

 

71. IEEE MTT
 
    (Microwave Theory & Techniques)

IEEE 중 RF인들에게 가장 친숙한 연구그룹은 역시 MTT입니다. 초고주파 관련 각종 이론과 기술에 대해 총 망라하고 있으며, 매년 열리는 학회에 우리나라 연구개발진들의 참여도 활발한 편입니다.

왠만히 쓸 만한 RF 국제논문의 80%는 여기서 나온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겠지요. MTT 홈페이지에서는 이러한 MTT 그룹 소개와 학회일정등의 정보를 제공하고 있습니다. 어쨌건 RF연구인들에겐 가장 중요한 소스임에는 분명합니다.

(물론 기본적으로 IEEE 회원이 되어 있어야 모든 혜택을 받을 수 있습니다. ^^;)

 

72. IEEE AP
     (Antenna & Propagation)

IEEE 안테나와 전파전파에 대해 다루는 연구그룹입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100% RF와 직접적 관련있는 내용들이 많은데, 크게 안테나 기술분야와 전파산란(scattering)일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회로적 기술이 아닌 실무 안테나/전파기술에 중점을두고 있으며, 안테나와 관련된 연구나 업무를 하시는 분이라면 MTT와 함께 꼭 알아두어야 할 곳입니다.

 

73. IEEE EMC
     
(Electro-Magnetic Compatability)

IEEE의 EMC 연구그룹입니다.

EMC는 전자기기간의 전자파간섭을 다루는 분야로써, 워낙 흔해진 말이라 모두들 친숙해하실 것입니다. EMC 는 특성상 전자/전기산업 전반에 걸친 문제이지만, 전자파에 의한 현상이라는 측면에서 RF적으로 접근하여 풀어야 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런 측면에서 우리 RF인들의 참여가 많을 수밖에 없는 곳이기도 합니다.

 

74. IEEE IGARSS
(Geoscience And Remote Sensing Society)

IEEE의 원격탐사 관련 연구그룹입니다.
언뜻보면 RF분야의 그룹같아 보이진 않지만, 기본적으로 원격탐사는 전자파를 이용한 레이더(소위 SAR라 불리우는)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지표면의 물질 탐사와 기상연구 등 지리학적 분야와, 그것을 구현하기 위한 RF분야가 혼재된 연구그룹으로써, 레이더를 전공하는 RF인들에겐 친숙한 곳입니다.

 

75. RAWCON
(IEEE Radio & Wireless Conference)

IEEE의 고주파관련 그룹의 주요 행사중 하나인 Rawcon을 주관하는 홈페이지입니다. 매년 1회씩 학술논문발표 및 각종 세미나, 워크샵이 열리는 컨퍼런스로써, MTT류보다는 보다 실무적인 내용들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이 홈페이지에서는 매년 열리는 이 행사의 일정과 상황 및 일부 발표 자료도 다운받을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Past Conferences 메뉴를 통하면 이전에 열린 행사의 정보와 자료도 얻을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6. 3G Newsroom

IMT2000을 근간으로한 3세대 이동통신을 통칭하는 3G (3rd Generation) 과 관련된 각종 정보를 다루는 곳입니다. 최신 3G 규격이나 기술동향, 제품정보, 시장흐름 등에 대한 내용을 얻을 수 있습니다.

3G에서 쓰이는 각종 특수용어에 대한 설명, 3G기술이 적용된 전세계의 각종 휴대폰 데이터베이스, 관련 각종 기술/규격 문서 등, 3G에 관련해서는 흥미로운 정보를 쉽게 얻을 수 있는 좋은 곳입니다. 3G에 관심 많으시거나 종사하시는 분이라면 쓸~모있는 사이트로 강추!합니다.

 

77. Wireless System Design

Microwave & RF 와 같은 계열의 저널로서, 온라인 등록 및 무료이용이 가능한 곳입니다. 물론 다른 저널과 마찬가지로 직접 책자를 받아볼 수도 있게 되어 있습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아날로그 RF 회로/시스템을 포함하여, 하드웨어 이외의 소프트웨어는 물론 무선구현에 필요한 디지털 회로부까지 다양한 무선분야의 이슈를 담고 있습니다.

본 저널의 모든 자료는 RFDH 저널기사 자료실에도 모두 등록되어 있으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78. Wireless Design & Development

무선기술을 다루는 대표적인 저널중 하나로써, 무선 아날로그 RF 하드웨어를 비롯, 관련 S/W 기술과 디지털 기술까지 총망라한 광범위한 분야를 다루고 있습니다.

학술적인 저널이라기 보다는, 잡지적 성격이 강한곳으로써 기술적 정보보다는 시장흐름과 관련된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습니다.

Feature Articles 부분에는 그동안의 기술기사들을 열람할 수 있는데, 전부 RFDH 저널자료실에도 PDF화되어 등록되어 있습니다. 그와 더불어 전세계의 각종 관련 회사들을 조회해볼 수 있으며, 제품에 대한 다양한 광고와 정보를 접할 수 있습니다.

 

79. High Frequency Electronics

제목 그대로, 고주파 전자공학분야에 대한 기술저널입니다. 생긴지는 비교적 얼마 안되었지만, 덕분에 최신기술에 좀더 집중적인 안배를 하고 있습니다.

다른 저널들과 마찬가지로 무료로 책자를 받을 수도 있고, 인터넷 상에서 PDF나 HTML로 직접 조회도 가능합니다.

내용이 아주 많은 곳은 아니지만 그럭저럭 참고할 만한 내용들이 눈에 뜨이는 참신한 곳이지요. 곧 이곳 자료들도 RFDH저널 자료실에 일괄 등록될 예정입니다. ^^

 

80. Telecommunication Magazine

통신 전반의 내용을 다루는 국제 기술 저널입니다. 내부적으로는 미국판과 국제판이 있는데, 다른 저널들과 마찬가지로 무료등록후 책자를 받아볼 수 있게 되어 있으며, 최근 자료들은 인터넷에서 PDF로 받아볼 수 있게 하고 있습니다.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통신에 관한 전반을 다루기 때문에 유선통신과 무선통신의 내용이 혼재되어 있습니다. 그렇지만 시대조류가 그러하듯이 대부분의 mobile과 관련된 내용이 가장 많습니다.

유무선망의 전반적인 기술동향과 정보를 얻기위해 유용한 곳이므로 참조하시기 바랍니다.

 

81. VHF Communication Magazine

이곳은 원래 아마추어 라디오와 관련된 정보를 교류하기 위해 만들어진 곳인데, 그래서 RF인들에게도 도움되는 정보가 있습니다.

VHF 주파수 대역(실제론 그 이외의 주파수도 있긴 합니다)의 각종 회로도나 설계에 대한 정보들이 일부수록되어 있으며, 원래는 유료잡지라서 웹상에 그렇게 많은 자료들이 있지는 않습니다. ^^; 관심있으신 분들은 Specimen Articles 라는 메뉴를 참조해보시기 바랍니다.

하지만 VHF대역에 관련해서는 30여년동안의 저널 기사 목록등을 제공하고 유료로 받을 수 있게되어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꼭 필요하신 분들도 계실 듯 합니다.

 

82. Microwave Product Digest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최신 고주파/무선 관련 제품들의 기술과 제품정보를 얻을 수 있는 잡지입니다.

아무래도 잡지 목적상 RF 관련 제품들을 소개하는 것이 주를이루고 있으며, 다른 저널과 마찬가지로 무료신청을 통해 하드카피로도 받을 수 있고, 웹상에서 바로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런 잡지들은 단순히 제품정보뿐만 아니라, 제품기술동향도 파악하는데도 유용합니다. 실무상에서 유용한 제품들을 찾아보는 것도 상당히 큰 일인데, 나름대로 도움이 될 만한 잡지입니다. ^^

 

   << Bac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