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에는 PSpice의 마지막 연재네요. 회로이론에 대한 이야기를 하는 것이 아니라 툴의 사용법만 이야기를 하니까 사실 여기까지면 일반적인 사용에 큰 어려움은 없을겁니다. MATLAB에서도 이야기했던것 같은데, 어떤 툴을 사용할줄 아는가? 하는 문제는 상당히 우스운 이야기입니다. 툴의 사용은 그저 필요에 의해서거든요. 결국 뭘 하기 위해 툴을 사용하는가의 문제인데, 간혹 학생들 중에는 난 이거이거 할 줄 안다고 자만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가끔 학부생들과 대화를 하다보면, 자신이 영어를 아주 잘하고, 학점관리도 잘하며, PSpice, MATLAB, 이런거부터 각종 캐드 등 전공관련 툴까지 모두 잘 쓴다고 자랑을 하는 경우를 보게 되는데요. 물론 얼굴을 맞대고 있을때는 당연히 우와... 멋지다.. 라고 치켜주지만... 사실 속으론 그래서 뭘 할줄 아는데??? 라고 묻고 싶을 때가 많습니다.

자기가 아무리 좋은 톱과 망치와 못이 있으면 뭐하나요. 그걸로 뭘 만들어본적이 없는데.ㅠㅠ.
가끔 자기 집의 PC 사양이 최신에 최고라는 자랑을 하는 경우를 또 간혹 보게 되는데요. 역시 그것도 좀 슬프죠... 그렇게 좋은 PC로 도대체 뭘 하느냐?? 고 묻고 싶거든요.



응??? 이상한 이야기를했네요. 이번엔 PSpice상에서 저항값이나 캐패시터 등등의 값을 프로그램 단계에서 가변시키며 결과를 확인하는 것을 이야기해볼려고 합니다.


위의 OP-AMP를 이용한 회로를 구미고


아.. 전원은 VPULSE입니다.


OP-AMP는


OPAMP라이브러리에 LF411이구요


간단히 시뮬레이션 환경을 세팅하시구요


간단히 시간축으로 결과를 보면 위와 같습니다. C2에 흐르는 전류를 잡은겁니다.




이제 C2의 값의 변화를 관찰해보겠습니다.


반듯이 중괄호로 묶어서 {Cvar} 이라고 해둡니다. 그럼 중괄호 안에 있는 이름이 변수로 지정되는것입니다.


위 화면처럼 나타나야하구요. 그다음


SPECIAL라이브러리에 PARAM을 가지고 오셔서


보기좋은(^^) 위치에 둡니다.


그리고 위와 같이 PARAM을 세팅합니다.


그리고 전류 마커하나 두시구요.


시뮬레이션 세팅에서 Parametric Sweep을 설정하셔서 위 화면처럼 변수를 설정하면 됩니다. 시작, 끝, 간격을 입력하면 됩니다.


그리고 시뮬레이션을 하면 위와 같은데요. 각 간격마다 한번씩 모두 시뮬레이션을 해서 그걸 다 사용할 건지 물어보는건데요. 그렬려고 한거니 당연히 OK를 누르시구요


보시면 캐패시터의 변화에따른 전류변화를 알 수 있네요. 





문젠... 경향인데요. 그 경향이 어디로 가는지를 잘 모르겠네요.


Performance Analysis를 선택하셔서


살짝꿍 OK하시고


새로운 빈 창이 나타나면


Add Trace에서


MAX값만 읽도록 해보죠... 물론 C2의 전류죠


이렇게 두 그래프를 같이 보면 캐패시터의 증가에 대한 변동을 쉽게 확인할 수 있습니다.


http://pinkwink.kr/trackback/383 관련글 쓰기
  • 핑구야 날자 2010/11/30 08:17

    어제 회식이어서 오늘은 눈에 안들어 오네요..

  • 도키 2011/09/04 17:45

    유용한 기능이네요.
    그런데 몇가지 오류가 있는데요. param 에서 아무것도 건들지 마시고 new colum에서 변수명으로 하나 만들고 default 값 넣으면 됩니다. value , reference 에 값넣으면 에러 나요.

  • 싸운드트랙 2011/10/14 14:57

    오...그런데 만약에 한 회로에서 동시에 두 개의 저항값을 변화시켜가면서 (동일한 값으로) 그 결과를 보고 싶을때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 PinkWink 2011/10/15 19:36

      솔직히 말씀드리면... 질문내용이 길진 않는데.. 내용을 잘 모르겠습니다.

  • 싸운드트랙 2011/10/16 19:42

    음 ㅋㅋㅋ 이를테면 님이 예로든 회로에서 {var}값이 두 개 있다는거죠.
    두개의 저항이 동시에 변화할때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싶은건데요~ 시뮬레이션을 어떻게 해야할지 몰라서 말입니다 ㅋㅋㅋ 파라메터를 두개 써야 하는건지...

    • PinkWink 2011/10/17 12:26

      관찰하고자하는 저항이 두 개 이상이라도
      각각 변수명을 잡고 이 포스팅과 동일한 과정을 수행하시면 됩니다.
      {VAR}는 변수명을 잡는 곳이라, 각기 다른 변수명을 잡아주시면 되거든요.

  • 싸운드트랙 2011/10/23 02:26

    다른 변수명을 잡는다면 (Var_A, Var_B라 가정.),Var_A에 대해서 parametic sweep 할 때 Var_B도 동시에 변화시키는 방법이 있다는 건가요?
    저는 두 개의 저항이 동시에 변화할 때(같은 값을 가지면서) 회로에 미치는 영향을 알고 싶은거라서요....parametic sweep을 두개의 저항에 대해서 동시에 수행할 수도 있는 겁니까?

    • PinkWink 2011/10/23 21:14

      어이쿠 이런 죄송합니다. 하도 오랫동안 안만졌더니 기억이 어떻게 되었나요 봅니다.
      제가 알지 못합니다. 저도 하나를 변환하는것을 해보았습니다.
      두개 이상의 변수 조합은 모르겠네요

  • 싸운드트랙 2011/12/04 22:20

    어쨌든 감사합니다 ㅎㅎㅎ

    • PinkWink 2011/12/04 22:26

      네.. 어찌되었든 도움이 되지 못하네요...
      잘 해결되셨길 빕니다.

1 ... 5 6 7 8 9 10 11 12 13 ... 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