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일하는 곳에서 한 연구원과 저는 몇 주 전쯤 이런 이야기를 주고받습니다.


(연구원) 뭔가 저희 주행로봇들의 무선 조종기가 일관성이 없어요. 그렇다고 계속 RC용 무선 조종기를 가져다 쓰기엔, 그래도 명색이 로봇회사인데 좀 어색하구요. 그냥 플라스틱 케이스에 둥둥 때려박아서 만드는건 좀 싸보여요.

(PinkWink) 음.. 그럼 어떻게 하죠? (아무 생각이 없음...ㅠㅠ)

(연구원) 뭔가 일관성 있는 모습에 좀 더 보편적인 기능을 가진 뭔가를 만들면 어떨까요?

(PinkWink) 오오.. 훌륭한 생각이에요. 당장 하세요^^

(연구원) 제.... 제가 하는 건가요?ㅠㅠ

(PinkWink) 구럼... 다른사람이 하면 아이디어를 뺏어가는 거자나.. 그럼 얼마나 슬퍼... ㅋㅋㅋㅋㅋ

(연구원) 전.. 전.. 그냥 제 생각을 말씀....

(PinkWink) 오오... 의견의 개진과 그걸 추진하는 능력을 동시에 갖추다니... 훌륭합니다. 그럼그럼...

(연구원) ... ... ... ...


이렇게 해서.. 뭔가를 뚝딱뚝딱 만들기 시작했습니다. 사실.. 최초로 조종기의 필요성을 무쟈게 느끼게 한 놈은 [관련글] -> 이놈 때문이었는데요. 이게 조종기로 세팅하기가 좀 동작이 많았거든요. 그러다가 좀 더 확장성을 생각하게 되었죠.^^



짜잔.. 그렇게 해서.. 저런 주행로봇용 통합조종기 세트가 판생하게 되었답니다.[판매페이지 바로가기] 좀 비싼건 사실입니다만..ㅠㅠ 뭐 가격을 저희도 낮추고 싶었습니다. 그러나.. 주어진 여건이 그렇게 되지는 않더군요.ㅠㅠ. 가격을 낮는것도 진정한 기술력이라는 생각을 합니다. 흑....ㅠㅠ. 아노다이징된 외관에, 고급형 블루투스 송수신기, 배터리와 충전기(물론 조종기쪽만)를 포함했거든요. 힝~. 거기다, 좀 많은 수작업이... 사실 저희가 무쟈게 큰 회사에 무쟈게 이 제품이 잘 팔려서 소위말하면 생산 설계를 쫘~악 깔고, 공정에 맞춰 진행하면 좋겠지만, 이게 또, 그렇게 팍팍 나갈것 같지는 않은 제품 같기도 하고, 또 그런데 설비에 투자하기도 망설여지니... 어쩔 수 없이 일단 소량 생산을 진행하다보니 단가가 무쟈게 높아져버린겁니다. (에휴 왜 여기다 대고 작은 기업의 슬픈 상황이 주저리주저리 읆는지...ㅠㅠ) 


하여간 제품은 또 잘 나왔습니다.^^






일단 이 놈은 통합보드로 DC모터 단자 두개에 서보모터 단자 두개를 가지고 있습니다. 응? 왜 DC모터 단자가 두 개 뿐이냐구요.? 완전히 정밀한 어떤 움직임이 아니라면 단자 두개만으로 충분히 주행로봇을 다룰 수 있어서 그렇습니다.



요렇게 결선하시면 DC모터 4개를 가진 주행로봇을 살짝 움직이실 수가 있죠^^



당연히 세트 구성품중에서 통합보드에는 외부전원이 필요합니다. 만들려고하는 로봇에 분명 배터리가 있을테니까요. 저희가 추천하는건 12V연축배터리입니다만, 뭐 통합보드의 기능을 다 못써서 그렇지 아무거나 써도 상관없습니다.^^



그리고, DC-서보모터 두 개를 위한 단자가 또 배려가 되어있구요.



이 부분이 또 신경을 좀 쓴 부분인데요. 바로, 저희 조종기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지만, 어떤 이유(뭐 예를 든다면, PC나 이런것에서 별도로 조종하고자 할때)에서 통합보드에 직접지령을 내리고 싶으시다면, 위 스위치를 조절해서 RS232로 직접 구동명령을 내릴 수도 있습니다. 자세한 명령셋은 메뉴얼에 무쟈게 자세히 나와있어요^^

통합보드_메뉴얼1.pdf







이건 조종기인데요. 블루투스로 연결되는 무선 조종기입니다.



보시면 각종 설명도 뒷면에 있구요^^



저렇게 주 조종레버를 움직이시면, DC모터 두개 혹은 네 개가 구동되구요.



또 저렇게 움직이면 서보모터 두개가 구동이 됩니다. 역시 자세한건 메뉴얼을 통해서^^


NT-ControllerJv1(조종기).pdf


뭐.. 백문이불여일견.. 응? .. 아무튼.. 직접 동영상을 보시죠.



동영상 초반에는 DC모터 두개와 서보모터 두개를 어떻게 움직이는지 나타나구요. 후반에는 바퀴 4개짜리 주행로봇에 카메라짐벌을 장착해서 서보모터 두 개가 움직이는 모습을 보여드리고 있습니다. 


완전 봄이네요. 이제 저처럼 살찐 종족들이 노출을 두려워하는 여름이 다가오고 있어요...ㅠㅠ. 뭐 또 몸을 가릴 수 있는 겨울이 곧 오겠죠.... (누구보다 지구 온난화를 싫어한답니다.ㅠㅠ)^^ 그래도 꽃구경으로 나들이들 다니세용^^






http://pinkwink.kr/trackback/515 관련글 쓰기
  • 나비오 2012/04/19 11:49

    대박 나시길 바래요^^
    전 삼십오만원이 비싼지 싼지도 구분 못하는 인문학 전공자라,,,,ㅠㅠ

    하여튼 많이 파시고 그 자본으로 좋은 생산 설비 갖추셔서
    좋은 제품 개발 하시길 다시 한번 바랄께요

    • PinkWink 2012/04/19 19:40

      그러게요. 좋은 제품으로, 호응을 얻고, 그것으로 다시 가격을 낮출수있다면, 그것 또한 환원이라고 생각을 합니다. 물론 저희도 거창하게 환원하고 싶지만 말이죠^^

  • 핑구야 날자 2012/04/19 12:03

    선풍기가 생각이 나는 군요...ㅋㅋ 이런 기본 원리를 통해서 만든 소형자동차의 움직임이 장난이 아니네요.. 턴이 엄청 부그러워요..

    • PinkWink 2012/04/19 19:41

      네.. 살짝 주행성능에도 신경을 좀 썼답니다.^^
      물론 확 좋아진건 아닙니다만^^

  • 수아기 2012/04/19 16:09

    우왕 멋지네요. 역시 대화를 통해서 무엇인가가 만들어지고 하나 봅니다. 그럼 이제 저 조종기가 기본 플랫폼이 되는것인가요. 아주 어려운 과정을 통햇거 만들어졌을텐데 결과물이 참 보기가 좋습니다.^^

    • PinkWink 2012/04/19 19:43

      히히.. 그 대화가 그 연구원에게 아름다웠을지는 좀 생각해봐야겠지만.. 하여간.. 역시 모든것은 대화로 시작해서 대화로 끝나는것 같습니다.^^

  • 라라윈 2012/04/22 10:07

    ㅋㅋㅋㅋㅋㅋ 대화 내용 넘 잼있어요...
    혹시 저같은 일반인이 핑크윙크님이 만드시는 무선 조종 자동차를 볼 수 있는 전시회도 있어요~~? +_+

    • PinkWink 2012/04/23 09:50

      네.. 로봇 전시회들이 열리지요. 통상 9월이나 10월경에 열리는 로보월드라는 전시회가 있습니다.^^

  • 구차니 2012/04/22 11:28

    개인적인 욕심이지만 어댑터(?)를 이용해서 TV 리모컨을 사용한다던가 하면 어떨까 하는 생각이 있긴해요.
    IR 리시버와 그걸 이용해서 RS-485로 연결해주는 식으로 말이죠 ㅋ

    • PinkWink 2012/04/23 09:51

      좋은데요.^^. 엔지니어한테 한번 말해봐야겠어요^^

  • 펜타브리드 2012/05/22 22:53

    오늘 구매해보았는데요 설명서대로 연결시 4개의 모터가 같은방향으로 회전되더군요.
    간단히 말하자면 직진을 하고자 하는데 모두 같은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자리에서 빙글빙글 돌기만 할수
    밖에 없다는거죠. 그래서 한쪽은 +를 -에 연결하고 -를 +로 연결해야만 정상적 주행이 가능하게되는데
    여기서 질문
    ① 제가 구매한 제품에 문제가 있을까요?
    ② 원래 한쪽은 설명서를 무시하고 반대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제품인가요?
    ③ 만약, 지금처럼 한쪽방향은 반대로 연결해서 사용하는 제품인경우 모터의 토크등에는 지장이 없는지요?

    궁굼해서 여쭙니다.

    • PinkWink 2012/05/23 09:19

      네 아무 이상이없습니다. DC모터이니까요.
      방향설정의 문제에서 DC는 구애받지 않습니다.
      저희도 메뉴얼 시 모터입장에서 +-가 오히려 혼돈을 줄 것 같아, 로봇의 주행방향입장에서 붙인것 뿐이랍니다.

  • 박찬구 2012/11/26 11:07

    가격과 통신거리가 궁금하고, 연구소나 연락 가능한 매체는?

  • 2013/03/06 20:15

    비밀댓글입니다

    • PinkWink 2013/03/07 11:24

      3~6번이 전체 점멸이라도 1번 2번 3번에 따라 상황이 다릅니다.
      일단, 오류가 의심되시면, 디바이스마트의 고객센터를 통해 A/S를 접수하시면 됩니다. 실제로 엔지니어들이 제품을 확인하지 않으면 딱히 답변하기 어려울 수도 있습니다.

1 ... 6 7 8 9 10 11 12 13 14 ... 3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