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가 10대일때 읽었던 책들 중에 정말 성격이 바뀔 만큼 깊은 생각을 하며 읽었던  책이 몇 권 있는데요.

접시꽃 당신
플란다스의 개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데미안
은하영웅전설

음 마지막의 은하영웅전설은 다른 책들과는 달리 제목부터 좀 생뚱맞을진 몰라도 꽤 재미있답니다^^. 이중에 지난번에 접시꽃 당신이야기는 했구요. 오늘은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의 감상 중 일부를 이야기하고 싶어서요. (아참 제가 좋아하는 베르나르 베르베르시오노나나미씨의 작품들은 모두 20대에 읽은거라 위 목록에 없어요...)






왜 이 이야기를 하고 싶냐면.. 지금 포스팅 시간을 보시면 아시겠지만 설연휴를 혼자 보내고 있거든요. 그래서 안 본 드라마중 완결된 것 중에 하나를 몰아봐야겠다는 생각에 온에어를 보았습니다. 정말 재미있더군요.. 왜 그때 안봤는지 몰라요^^ 근데 그 드라마 내용중에 비디오 어쩌고 하면서 주인공 오승아가 "죽음까지 생각했다"는 부분이 있더군요. 그래서 최근 기억도 또 떠오른거죠. 작년에 자살로 우리곁을 떠나간 많은 분들이 있었는데요. 어느 술자리에서 한 후배가 그러더군요. "그런 각오로 좀 더 열심히 살지".... 그래서 자살이라는 주제가 떠오르더군요. 그러다가 놀랬어요. 제가 10대에 감명깊게 읽었던 작품들이 하나같이 죽음을 다루고 있었다는것도 이제서야 새삼 알게 되더군요.

접시꽃당신은 병으로 떠나간 아내를 생각하는 남편의 감정이 나타난 시집이고, 플란다스의 개는 소년 네로와 그의 개 파트라슈가 모두 동시에 죽음을 맞이하고,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주인공 베르테르가 자살을... 데미안 역시 데미안의 죽음을 암시하구요. 마지막 은하영웅전설에서도 두 주인공 얀 웬리는 암살을 당하고 라인하르트 폰 로엔그람은 불치의 병으로 죽음을 맞이하는군요. 전 10대때 좀 우울한 성격을 가졌던 모양입니다..ㅜ.ㅜ

아! 다시 본론으로 돌아와서(^^) 자살...을 이야기해야죠.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을 보기전엔 저도 자살에 대한 생각이 별반 다르지 않았습니다. 뭐 나와는 관계없는 거라 생각해서인지 큰 감상도 없었고, 오히려 주변 어른(당시엔 교회를 다녔던 관계로 자살에 비판적인 주변사람들이 워낙 많았거든요)의 영향으로 오히려 왜? 죽지? 라는 생각을 더 많이 가지고 있었습니다. 그런데 어린 제가 읽었던 그 작품에서 베르테르가 알베르트와 하는 그 논쟁이 절 생각하게 만든거에요. 자살이라는 것에 대해...

민음사 출판작. 표지. 박훈규 디자인


불치의 병... 암이나 혹은 어떤 병이든... 그런 불치의 병에 걸린 사람에게 병문안을 가서 혹은 그런 불치의 병에 걸려 죽음을 맞이한 사람에 대해 이야기할때, 절대
왜?  죽지?, 좀 더 살려고 애써보지... 그럴 용기로 좀 더 살아보지? 라고 이야기하지 않는다는 걸 알았던 거지요. 육체가 병에 걸려 생사의 기로에 서있는 사람에게는 우린 무한의 동정을 보내자나요. 그런데 영혼이 정신이 병에 걸려 생사의 기로에 서있는 사람에게는 상대적으로 너무 냉혹하지 않나 하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절대 어떤 형태로든 죽음을 옳다고 하는 것은 아닙니다. 분명 그와 같은 결정을 가진 사람이 책임져야할 주위 사람들에 대한 회피를 정당화하는 것도 아닙니다만. 분명 우리가 상투적으로 말하거나 혹은 쉽게 듣는 "그럴 용기로 좀 더 살아보지..." 라는 말은 뭔가 아니라는 생각을 했었습니다. 물론 당시엔 10대의 생각이라 어떤 결론을 내리기 너무 힘들었습니다만.

하지만, 사람은 정말 견디기 힘든 삶의 무게라는 것이 있는 모양입니다. 그 격전의 연속인 삶에서 살아남은 사람들은 "신은 견딜만큰의 시련을 주신다"라고 당당히 말할 수있지만, 그 보다 조금 더 무거운 시련을 받은 사람은 그런 말을 할 수 없겠죠. 물론 그런 시련이 정말 견딜 수없는 것이었나? 하고 묻는다면 뭐 알 수 있는 방법은 없습니다만. 비록 자살을 미화할 생각은 아니지만, 결코 자살이라는 선택을 한 사람을 단순히 몇 마디 말로 결론지을 수 없다는 것도 알게 되었습니다.

그나저나 이 연휴가 저에겐 너무 길게 느껴지는군요. 혼자 3일을 보내고 있어서 그런가봅니다.




http://pinkwink.kr/trackback/255 관련글 쓰기
  • [책]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Die Leiden des jungen Werthers) Trackback from 월풍도원(月風道院) - Delight on the Simple Life 2011/10/21 16:27 [ DELETE ]

    요한 볼프강 폰 괴테의 경험 속에서 우러나온 소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젊은 베르테르의 슬픔 이보게 빌헬름. 오랜만에 편지를 하는군. 지금은 창밖에 어둠만이 존재하는 밤이라네. 먹고 ..

  • 엘고 2010/02/15 20:34

    저도 10대때 읽던 명작들은 오래도록 기억되드라구요~~ㅎㅎ
    설연휴 행복하게 지내셨겠군요^^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PinkWink 2010/02/16 00:22

      그러게요... 좀 어두운것이 아닌가 하고 생각도 듭니다만
      뭐 저 책들만 읽은것은 아니니까요^^

  • 박재욱.VC. 2010/02/16 13:53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저도 참 감명 깊게 읽은 책이었어요. 자살에 대한 다른 시각을 제시해 주는 점이 참 좋은 것 같습니다. :) 구정이 조금 지나긴 했지만, 새해 복 많이 받으세요 ^^

    • PinkWink 2010/02/16 15:47

      ㅎㅎ 넵... 우리모두 새해복좀 받아볼까요?^^

  • 바다애미 2010/02/16 14:57

    헉... 핑크윙크님은 왜 혼자 보내셨어요?
    고향집이 먼가요? 그 명절을 세상에나...
    좋으셨겠어요-.-?
    나 몬 말 하고 있는거지?
    떡국 못 먹어서 한이 맺히다 못해
    사리가 생겨 이상해진 바다애미;;

    • PinkWink 2010/02/16 15:49

      ㅎㅎ... 화이팅입니다....^^
      뭐 지..집은...음음... 차타고 20분거리....인데..
      음..음... 그..그러니까... 하여간
      집안의 내부 정치적 상황으로 인해 제가...음음...
      그냥 학교 실험실에 있었습니다.. 쭈~~욱~~~!!!ㅜ.ㅜ

  • 라라윈 2010/02/19 08:36

    연휴동안 읽으려고 도서관에서 책 10권 빌려더 놨었는데...
    결국 1권도 제대로 못 읽고 연휴가 끝났어요...

    • PinkWink 2010/02/19 11:30

      ㅎㅎ 전 드라마...어흠... 다..다 보았다는...ㅜ.ㅜ
      근데 목표를 이룬 제가 왜 창피하죠?^^

  • 명랑CEO안동글 2010/02/19 13:53

    와 핑크윙크님께서 이 책들로 인해 데미안처럼 깨어나신건가요? :)
    책은 깊은 사색의 시간을 갖게 해줘서 좋은 것 같습니다 ㅇㅅㅇ
    저는 <내 영혼의 닭고기 수프>라는 책을 중학교때 읽고 처음 빡! 하는 깨달음을
    얻은 것 같아요 처음으로 죽음이 현실이구나 이런 생각도 해보고 ㅠㅠ 허허

    • PinkWink 2010/02/20 00:25

      음.. 일어났다기 보다는.. 의문을 가졌다.. 정도로^^

  • 2010/03/18 03:45

    비밀댓글입니다

    • PinkWink 2010/03/18 06:48

      우와... 한번도 못가본 곳... ㅎㅎㅎ
      (그..근데.. 왜 비밀글로...ㅎㅎㅎ 전혀 안 비밀스러운데요^^)

    • 클라리사 2010/03/18 21:47

      대외비라서요 ㅎㅎㅎ

    • PinkWink 2010/03/19 09:02

      오오.. 첩보작전 수행중이신가봐요..ㅎㅎ^^

  • 핑구야 날자 2011/05/06 23:09

    프란다스의 개 정말 재미있게 본 만화영화입니다 추억이 새록새록 세월이 참 빠르군요

    • PinkWink 2011/05/07 08:19

      그러게요... 파트라슈와 같이 뛰어가던 아로아와 네로가 떠올라요^^

  • 예문당 2011/07/04 09:51

    가지고 있는데, 아직 읽어보지 못했습니다.
    읽어봐야겠는데요? ^^

    • PinkWink 2011/07/04 13:23

      ㅎㅎ... 저는 10대때 꽤 많은 생각을 하게 되더군요^^